Winters used to be cold in England. We, my parents especially, spent them watching the wrestling. The wrestling they watched on their black-and-white television sets on Saturday afternoons represented a brief intrusion of life and colour in their otherwise monochrome lives. Their work overalls were faded, the sofa cover—unchanged for years—was faded, their memories of the people they had been before coming to England were fading too. My parents, their whole generation, treadmilled away the best years of their lives toiling in factories for shoddy paypackets. A life of drudgery, of deformed spines, of chronic arthritis, of severed hands. They bit their lips and put up with the pain. They had no option but to. In their minds they tried to switch off—to ignore the slights of co-workers, not to bridle against the glib cackling of foremen, and, in the case of Indian women, not to fret when they were slapped about by their husbands. Put up with the pain, they told themselves, deal with the pain—the shooting pains up the arms, the corroded hip joints, the back seizures from leaning over sewing machines for too many years, the callused knuckles from handwashing clothes, the rheumy knees from scrubbing the kitchen floor with their husbands' used underpants.
When my parents sat down to watch the wrestling on Saturday afternoons, milky cardamon tea in hand, they wanted to be entertained, they wanted a laugh. But they also wanted the good guy, just for once, to triumph over the bad guy. They wanted the swaggering, braying bully to get his come-uppance. They prayed for the nice guy, lying there on the canvas, trapped in a double-finger interlock or clutching his kidneys in agony, not to submit. If only he could hold out just a bit longer, bear the pain, last the course. If only he did these things, chances were, wrestling being what it was, that he would triumph. It was only a qualified victory, however. You'd see the winner, exhausted, barely able to wave to the crowd. The triumph was mainly one of survival. | 영국의 겨울은 추웠다. 우린, 특히 부모님들은 레슬링 경기를 관람하면서 그 계절을 보내곤 했다. 토요일 오후, 흑백 텔레비전을 통해 바라보는 레슬링 경기는 회색 빛 바랜 그네들의 일상에 잠시나마의 일탈과 삶의 색채를 가져다 주곤 했다. 그네들이 걸어 온 역사가 그러하듯, 수 년을 지나오면서 소파 덮개도 빛이 바랬고, 그네들이 영국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알고 지내던 사람들의 기억도 서서히 빛이 바래가고 있었다. 부모님들은, 그네들 세대 전체는 생의 전성기를 보잘것없는 월급봉투를 위해 공장에서 노동을 하며 보내야 했다. 고된 삶, 굽은 등, 만성적인 관절염, 다친 손. 그들은 입술을 깨물며 고통을 감내하던 세대였다. 달리 방법이 없었다. 마음속으로부터, 그들은 스스로를 지켜내고자 하였다 — 직장 동료의 경멸을 모른 체 하고, 현장 주임의 감언이설에 속박당하지 않고, 거기에 인도 여성들은 남편의 매질도 참고 살아야 했다. 그 동안 수없이 되뇌었으리라.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참아야 한다 — 지근거리는 팔의 통증도, 이젠 거의 못쓰게 된 고관절도, 재봉틀에 너무 오래 매달려 일한 탓에 얻은 허리 디스크도, 손빨래로 잔뜩 못이 박힌 두 손도, 남편의 낡은 속옷으로 부엌 바닥을 걸레질하다 얻은 무릎 관절염도.
토요일 오후, 부모님들이 우유 섞은 카르다몬 차를 손에 들고서 레슬링 경기를 관람할 때, 그네들은 재미와 즐거움을 원했다. 그러나 한편으론, 단 한번만이라도 착한 사람이 나쁜 사람을 누르고 승리하기를 원했다. 오만하고 목소리 큰 악당에게 본때를 보여주길 원했다. 그네들은 링 위에 쓰러진 채 손가락 관절 꺾기로 신음하는 영웅이, 옆구리를 거머쥐고 고통을 호소하는 영웅이 포기하지 않기를 빌었다. 조금만 더 참을 수만 있다면, 고통을 견디어 낼 수만 있다면, 마지막까지 갈 수만 있다면. 그렇게만 된다면, 레슬링 경기가 의례히 그렇듯이, 마침내는 승리하리라. 오직 그만이 정당한 승리였다. 승자는 관중에게 손을 흔들 수 조차 없을 만큼 기진맥진하기가 다반사였다. 그네들에게 있어서, 승리는 곧 생존을 의미했다. |